언어평가란 각 아동들이 지닌 개별적인 언어적 특징을 기술하는 것이며 이는 단순히 점수를 산출하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 일이다. 아동들은 저마다 개별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임상가는 어떤 중재 목표도 아동에 대한 언어평가의 결과 없이 결정해선는 안된다.
1) 언어평가의 목적
가) 판별
언어평가의 첫번째 목표는 과연 아동이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일이다. 판별은 실제의 검사절차보다는 간단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지만 판별검사도구가 따로 있지 않는 한, 표준화된 언어검사 결과를 기초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표준화된 언어검사일지라도 언어의 특정영역만을 살피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그림어휘력검사로 검사하였을 때 아동이 정상범주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더라고 이를 토대로 아동이 언어장애가 없다고 말할 수 없다. 그림어휘력검사는 어휘능력을 살펴보는 도구이며 이해능력을 살펴보는 검사이므로 대상 아동이 구문능력이나 언어표현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이 검사도구로는 어려움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판별에 적절한 검사 도구는 언어의 다양한 영역을 살필수 있으면서 가능하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도구가 적절하다.
나) 아동의 문제 파악 및 중재 목표 설정
판별검사를 통해 아동이 언어장애가 있다고 확인이 되면 다음의 절차는 아동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는 것이다. 임상가는 아동이 또래 아동에 비해서 아동의 수행 수준이 어떤지를 이해와 표현 각각의 양식에서 그리고 언어의 모든 영역에서 자세하게 기술해야 한다. 또한 어떤 아동들은 친숙하지 않은 환경이나 대화 상대자에게 따라 수행에 큰 편차를 보이기 때문에 임상가는 가능하면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아동의 수행을 살피는 것이 좋다.
임상가는 아동에 대해 기술된 평가자료를 바탕으로 아동의 중재 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은 한 번에 끝나지 않는다. 중재 초기에는 평가자료를 근거로 실험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임상가는 설정한 중재 목표가 적절한지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임상가는 중재를 시작했다는 이유만으로 아동의 언어문제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된다.
다) 중재 효과 측정
평가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중재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임상가는 다양한 평가 방법으로 아동이 중재를 통해 중재 목표가 달성되었는지 그리고 언제 종료할 것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평가가 아무리 중재의 일부이고 지속적인 과정이라고 하더라도 중재에서 가장 중요한 목표는 아동에게 언어를 가르치는 것이기 때문에 평가가 중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해서는 안된다.
2) 평가 내용
가) 언어 양식
언어장애아동들을 평가할 때 임상가가 해야 할 일은 바로 언어를 평가하는 것이다. 그리고 아동의 언어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아동의 이해와 산출능력 모두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해와 표현능력은 각각 다른 양식이며 발달상 어느 정도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능력을 기초로 다른 능력을 추론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이해능력의 경우, 아동들은 상황에 따라서 이해의 정도가 달라지므로 임상가들은 공시검사도구와 같이 아동들에게 친숙하지 않고 탈맥락적인 생활뿐만 아니라 친숙하고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아동의 이해능력을 살펴봐야 한다. 아동의 표현을 살펴보는 방법 또한 다양하다. 공식검사뿐만 아니라 모방, 유도 과제등을 통해 아동의 표현능력을 살펴볼 수 있다. 그러나 아동이 매일 사용하는 언어표현능력을 가장 타당성 있게 살펴보는 방법은 아동의 자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나) 언어영역
평가해야 할 언어의 영역에는 의미, 음운, 형태 및 구문 및 화용이 포함된다. 의미론영역에서는 어휘에 대한 지식, 사물과 사건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 또한 이러한 사물과 사건의 의미관계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 낱말정의하기 기술을 살핀다. 음운의 영역에서는 아동이 산출하는 음소들로 음소목록을 만들고 음운변동 및 개별 음소산출능력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학령기 아동의 경우에는 음운인식기술을 평가할 수 있다. 형태의 영역에서는 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의 형태소의 이해 및 사용능력이 포함되며 구문 영역에서는 단문과 다양한 종류의 복문의 이해를 살펴보고 표현에서는 아동이 사용하는 문장의 길이와 복잡성을 살펴볼 수 있다. 화용과 담화영역에서는 다양한 의사소통기능의 유형, 담화적 차원에서 주제 유지 및 주제 확장, 전제기술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이야기에서는 에피소드의 수, 이야기 문법 구성요소 및 적절한 결속표지의 사용률 등을 살펴볼 수 있다.